교수

"한국형 에너지 전환은 시민이 주도한다" 국제세미나에 좌장으로 참여한 전의찬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교수
2015-02-02 hit 1043
폰트줄이기 폰트키우기



(좌측부터) 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교수, 안병옥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 강필영 서울시 환경정책과 과장 (출처: 환경일보)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지도 어언 4년이 지났다. 최근 일본은 노후 원전 5기의 폐로 방침을 확정했고, 국내에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을 심의하는 등 에너지 전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월 22일 ‘에너지 전환: 지자체와 시민사회의 역할’을 논의하는 국제세미나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됐다. 세미나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에너지 정책을 전환한 독일과 일본의 전문가를 초청해 에너지 정책 추진배경과 과정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국내 에너지 정책 방향을 모색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세미나 주제가 세계적인 관심사인 만큼 이날 행사장은 전문가들과 시민들로 가득 메워졌다. 좌석이 부족해 서서 참여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았던 이번 세미나에는 우리대학 전의찬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교수가 지정토론 좌장으로 참여했다. 현재 한국기후변화학회와 CDM 온실가스검증위원회의 회장직을 겸임하고 있는 전의찬 교수는 국내 최초로 한국형 ‘온실가스 배출 경로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연구경력으로 에너지 관련분야 전문가로서 인정받아 세미나에 참가하게 됐다.


이날 세미나에 참여했던 모든 전문가들은 "한국형 에너지 전환은 시민이 주도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전의찬 교수가 이끈 지정토론에서도 중앙정부 차원이 아닌 지자체 차원에서 에너지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사업이 강조됐다. 다른 나라에 비해 화석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선 에너지 정책이 시민사회와 지자체 중심으로 이뤄져야 에너지 체계 개편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에너지 전환의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전의찬 교수는 “만약 에너지 정책이 시민사회와 지자체 중심으로 이뤄지게 될 경우, 시민이 목소리를 낼 때 지자체는 이를 귀담아듣고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국가가치나 지구가치와 연계되는 에너지 문제를 수익에 초점을 맞춰 바라보려는 자세를 지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취재 및 글 l 박혜정 홍보기자(lllolll257@sejo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