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이성주 교수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2023년도에 신설 된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소자, 반도체 공정의 3가지 분야로 나뉘며, 반도체 핵심 및 미래 분야에 필요한 요소와 전문 기술을 배운다.
Q. 학과(전공)의 장점은?
A. 5년 동안 석사 학위까지 받을 수 있는 학· 석사 연계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 전공필수과목은 10명 이내의 소규모로 진행되어, 최신 기술에 대한 실무 중심의 실험과 연구 경험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다.
Q. 학과에 적합한 학생은?
A. 수학과 기초과학에 흥미가 있다면, 충분한 역량이 있다고 본다. 또 반도체 분야는 최첨단 기술을 다루므로,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것에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학생에게 적합하다.
Q.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진로 방향은?
A. 대학원으로 진학한다면 학과의 특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석사 연계과정을 밟는다. 취업의 경우 반도체 파운드리, 장비, 설계의 반도체 관련 회사, 기간산업 분야 회사 로도 취업할 수 있다.
Q.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한 마디 한다면?
A. 수학과 물리, 화학에 대한 고등학교 학업을 성실하게 수행했다면, 충분히 배울 수 있는 학문이다.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이 많이 지원하면 좋겠다.
2.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

▲진중현 교수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는 2021년도에 신설되어 생명과학대학에 속해있다. 스마트 생명산업융합학과는 스마트 융복합 기술과 첨단 생물 신소재 발굴 기술을 바탕으로 그린바이오산업에 도움이 되는 역량에 대해 배운다.
Q. 학과(전공)의 장점은?
A. 기후 변화, 인구 구조 변화, 대역병의 창궐 등 현재 인류에게 직면한 실제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배울 수 있다.
Q. 학과에 적합한 학생은?
A. 식량, 식품, 의약품 등에 활용하는 생물 소재에 관심 많은 학생이다. 또 대부분의 사회적 문제는 혼자 해결할 수 없으므로, 국제 사회에도 관심이 있어야 한다.
Q.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의 진로 방향은?
A. 연구개발을 주로 하는 국공립연구소에 들어갈 수 있으며, 푸드테크 기업, 농식품 관련 기업, 스마트 팜 기업에도 진출할 수 있다. 또 그린바이오를 공부할 경우 유명 종자 기업 등 글로벌 기업이나 국제 연구기관에도 도전할 수 있다.
Q.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A.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는 매년 20명을 뽑는 소수 정예 학과입니다. 교수님들과 학부생들의 친밀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의견에 경청하고 있습니다. 미래, 생명, 과학의 단어를 좋아하는 학생이 도전해 볼 만한 학과입니다. 우리 학과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3. 인공지능학과

▲전창재 교수
인공지능공학과는 인공지능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인공지능 코어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응용기술도 함께 배운다.
Q. 학과(전공)의 장점은?
A. 배움과 연구, 진로 등의 방향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다. 공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예술, 인문, 사회 등 인공지능기술이 응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진로 설정이 가능하다.
Q. 학과에 적합한 학생은?
A.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분야이므로 창의적인 학생이 적합하며, 다양한 경험에 도전하는 태도를 갖췄다면, 더 좋다.
Q. 인공지능학과의 진로 방향은?
A. 인공지능이 활용·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의 회사에 취업이 가능하다. 또한 인공지능 관련 연구소 등 연구 경험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도 진로 설정을 할 수 있다.
Q.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A.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을 배우는 학과로 폭넓은 진로 설정이 가능하다. 인공지능에 대한 호기심만 있다면 충분히 즐거운 학교 생활이 될 것이다.